mobile background
K폴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언론에 게재한 기고문
조회 49

[황근의 미디어와 정치] 공영방송의 진정한 정치적 독립 가능할까


現 야당, 공영방송 영구 장악하려 법 개정 추진 중
선진국처럼 공영방송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 줄여야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2220 

조회 36

[이인철 칼럼] 먼저 보수가, 이어서 진보가 무너졌다


제도를 무력화시키는 정치세력은 더 이상 정치세력이 아니며 분파주의를 추구하는 파벌에 불과하다. 총체적으로 거버넌스가 사라진 암울한 시기가 새로운 정치가 나타나는 징표이자 새로운 정치세력이 만들어지는 진통기라고 생각하여 본다. 길 것 같던 겨울이 지나면 봄이 찾아오고, 깊은 밤의 어둠이 아무리 짙어도 새벽은 다가온다.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61145

조회 45

[뉴스외전 포커스] "인공지능은 영원히 오류 낼 것"


"챗GPT, 미국 오픈 AI에서 출시한 대화형 서비스"

"한국, 1~2년 기술 차이‥한국형 챗GPT가 아닌 전세 계용으로 만들어야"

"미국·중국·한국 정도가 챗GPT를 만들고 선도할 수 있어"

"AI 기술 발전하면서 경제력 입증, 저작권 관련 법 개정 노력"

"인공지능은 영원히 오류 낼 것이라는 태도 중요‥사람이 늘 검증해야"

"전자상거래 검색 다 바뀔 것‥관공서도 자동화"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1400/article/6457877_36177.html

조회 38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국제관계에 무지한 정치인들은 국가의 재앙


범죄자를 옹호하는 민주당은 조선시대 부패한 사대부들의 데자뷔
국제관계는 무지한 개인의 사념(邪念)이 아닌 국익에 기반해야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4024 

조회 30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면밀한 국가전략 수립할 ‘싱크탱크’ 그룹 구축을


‘국가 대전략’도 없는 암담한 대한민국 정치의 현실

‘우물 안 개구리’ 한국 정치 시스템 근본적 개혁 불가피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3286

 

조회 35

[다산칼럼] 전문직단체, 플랫폼과 싸울 때 아니다


변협 압박에 로톡 날개 꺾여
약사협·세무사회 기득권 등쌀에
플랫폼업체들 '제2의 타다' 위기

'챗GPT 쓰나미' 덮치는 현실에
전문직단체의 저항 부질없어
정부·국회 모호한 규정 정비해야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3022632781

조회 48

경남도 초청 특강…"공정·자율·희망의 지방시대 열겠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자치분권과 재정력 강화, 교육혁신과 지방대학 살리기,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등 지방시대를 위한 핵심과제를 법령 정비와 지방시대 종합계획 수립, 지역균형발전 특별회계 개선 등으로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할 계획이다"며 "지역특화 발전과 지방자치 분권 등으로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리는 공정, 자율, 희망의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224094500052?input=1195m

조회 49

[선데이 칼럼] “바보야! 문제는 수익률이야”


국민연금 지난해 운용손실 80조원
수익률 주요 연기금 중 바닥권
1%P만 올려도 고갈 시점 8년 연장
‘더 벌고 더 받는’ 구조로 전환해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3038#home

조회 142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면밀한 국가전략 수립할 ‘싱크탱크’ 그룹 구축을


‘국가 대전략’도 없는 암담한 대한민국 정치의 현실
‘우물 안 개구리’ 한국 정치 시스템 근본적 개혁 불가피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3286

조회 166

[전문기자 칼럼] 메타버스, 챗GPT 그리고 농업


농업기술 강국인 이스라엘의 국부(國父) 고(故) 시몬 페레스 대통령은 "농업은 95%가 과학기술"이라고 했다. 고(故) 이어령 교수는 "AI와 결합했을 때 가장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산업이 바로 농업"이라면서 "인류의 마지막 '버스'인 메타버스에 빨리 올라타라"고 주문했다. 메타버스와 챗GPT가 바꿀 농업의 미래가 기다려진다.
https://www.mk.co.kr/news/columnists/10650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