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Policy 브리프 No.26 (2021.8.23.)
정 제 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디지털 전환 시대의 AI 교육혁명
1. 산업사회형 학교의 문제점
2. 교육 혁신의 방향
3. AI 교육혁명
< 요 약 >
▶ 근대식 학교제도는 상당히 효율적인 시스템을 통해 산업사회의 인력을 양성해 내는데 성과를 이루어 왔음. 특히 해방이후 우리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교육의 양적 성장을 이룩하였음
ο 학년제(school ladder system)의 기본적인 운영 방식은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운영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학습 성과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ο AI 교육혁명을 통해 학습 과정의 효율성을 꾀함으로서 그동안 실현시킬 수 없었던 학생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해야 함
▶ 전 세계적으로 산업사회형 학교교육 제도는 한계를 노정해 왔음
특히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임
ο 사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어 왔으나,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은 여전히 증가하는 추세임
ο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은 완전학습(Mastery Learning)이 이루어지려면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파악하고 개별 학생에게 맞는 학습의 시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것임
▶ AI 교육혁명은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을 구현하여 모든 학생이 학습에 성공하고 각자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며, 이것이 바로 미래교육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음
ο HTHT는 교사가 주도하는 창의적 교육인 ‘하이터치(High Touch) 교육’과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하이테크(High Tech) 교육’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음
ο ‘AI 보조교사 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안하는 이유는 일대일 맞춤형 교육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임. 개인별 맞춤형 학습지원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과 시스템의 활용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임
ο AI 기술을 혁신의 레버지지로 삼아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교육시설의 개선뿐만 아니라 교원정책의 변화, 대입제도의 개선 등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총체적인 학교교육의 혁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K-Policy 브리프 No.26 (2021.8.23.)
정 제 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디지털 전환 시대의 AI 교육혁명
1. 산업사회형 학교의 문제점
2. 교육 혁신의 방향
3. AI 교육혁명
< 요 약 >
▶ 근대식 학교제도는 상당히 효율적인 시스템을 통해 산업사회의 인력을 양성해 내는데 성과를 이루어 왔음. 특히 해방이후 우리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교육의 양적 성장을 이룩하였음
ο 학년제(school ladder system)의 기본적인 운영 방식은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운영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학습 성과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ο AI 교육혁명을 통해 학습 과정의 효율성을 꾀함으로서 그동안 실현시킬 수 없었던 학생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해야 함
▶ 전 세계적으로 산업사회형 학교교육 제도는 한계를 노정해 왔음
특히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임
ο 사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어 왔으나,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은 여전히 증가하는 추세임
ο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은 완전학습(Mastery Learning)이 이루어지려면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파악하고 개별 학생에게 맞는 학습의 시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것임
▶ AI 교육혁명은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을 구현하여 모든 학생이 학습에 성공하고 각자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며, 이것이 바로 미래교육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음
ο HTHT는 교사가 주도하는 창의적 교육인 ‘하이터치(High Touch) 교육’과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하이테크(High Tech) 교육’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음
ο ‘AI 보조교사 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안하는 이유는 일대일 맞춤형 교육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임. 개인별 맞춤형 학습지원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과 시스템의 활용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임
ο AI 기술을 혁신의 레버지지로 삼아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교육시설의 개선뿐만 아니라 교원정책의 변화, 대입제도의 개선 등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총체적인 학교교육의 혁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