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K폴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언론에 게재한 기고문
조회 46

[공감 딥터뷰] 전광우 “연금개혁은 자체 수익률 제고부터 시작돼야...기금 운용 개혁 시급”


전 이사장은 “(보험료율 인상 등) 모수개혁에는 상당한 저항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개혁에 성공한다고 해도 점진적인 조정이기 때문에 효과는 크지 않다”라며 “궁극적으로는 수익률을 높이려는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익률을 높이는 작업이 쉬운 일은 아니다. 다만 수익률을 높이려는 노력은 안 하면서 국민에게 보험료를 더 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이는 직무유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738474

조회 114

[송의달 에디터의 Special Report] 한한령의 겉과 속


①中에서 쫓겨나자 더 강해진 K콘텐츠
②충격을 기회로 바꾼 관광·면세점 업계
③한국 反中 정서 최고로 치솟아 중국 타격 

https://www.chosun.com/economy/2023/02/02/2NNMSPVRFREZDLE2FCAHSIJUE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조회 106

[남정호의 시시각각] 중국 디커플링, 일본서 배우자


과거에 함몰돼 국익 도모의 기회까지 차버리진 말자는 얘기다. 특히 앞으로 심해질 '차이나 불링'(China Bullying·중국의 괴롭힘)에 맞서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윤석열 정부의 한·일 관계 개선 노력도 이런 각도에서 바라봐야 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7105#home 

조회 78

[황근의 미디어와 정치] 기대감조차 실종된 정부의 미디어 정책


문 정권에서 훼손된 언론환경 정상화 시급
정치논리에 매몰돼 합리적 정책 논의 사라져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0884 

조회 72

[학회장에게 듣다]③ 권남훈 차기 한국산업조직학회장 “재벌 지배구조 규제? 민간 기업 일에 정부 간섭 부적절”


“재벌 규제하던 ‘경제력 집중 억제’ 성찰 없이 관행화 돼”
“지상명령된 ‘금산분리’ 및 ‘지주회사’ 담론도 다시 따져봐야”
“‘화물연대’로 본 경제주체 다양화→정책 기준 정립 필요”
“플랫폼심사지침,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더 나은지 의문”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2/06/LT4IWVBB4VEFNGQGKB3Q5WUQEY/?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조회 66

[동아시론] 프랑스 연금 개혁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마크롱, 정년 연장하는 연금개혁 과감히 추진
경기 침체에 개혁 좌초, 英 타산지석 삼은 듯
韓 연금개혁, 사회적 갈등 조정에 성패 달렸다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131/117664968/1

조회 78

[파워인터뷰] “징용문제 풀 마지막 기회… 尹방일 맞추려 서둘러선 안돼”


日기업 자산 현금화 이뤄지면, 강제징용 문제 돌이킬수 없어
日 먼저 수출규제 완화하고, 한국도 지소미아 복원 필요
한일은 전략적 파트너 관계… 美中 갈등속 세력균형 협력을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207/117765528/1/

조회 53

[포럼] 난방비 미봉책과 ‘시장 기능’ 정상화


난방비 때문에 추운 겨울은 한 번으로 족하다. 이번을 계기로 근본적인 에너지 산업 구조 개편과 요금을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1년 이내에 다시 겨울이 찾아오기 전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시간이 많지 않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20701073111000002 

조회 140

[목멱칼럼]규제 완화인가, 시간 끌기인가


규제 특례제도, 샌드박스, 한시규제완화 등은 규제완화를 촉진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제도들은 공무원의 책임을 덜어 주어 변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규제완화를 지연시키는 부작용도 있다.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보다는 이렇게라도 변화가 시작되는 것이 낫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이렇게 점진적인 규제개혁으로 과연 버틸 수 있을까.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418729?lfrom=kakao 

조회 175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뒤 어두운 그림자


NATO의 지원 요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공고화 의미
잃을 것이 없는 북한의 막가파 식(式) 도발 가능성 상당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대한민국 존속의 평생보험이자 생명줄 

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