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K폴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언론에 게재한 기고문
조회 86

[황근 칼럼] 방송 광고의 정치학


최근 정부가 소유 또는 지분을 가지고 있던 일부 방송들에 대한 민영화 –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포기한다는 점에서 정상화라고 하는 것이 정확하다 – 가 모색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민영화로 방송이 상업광고에 직접 의존하게 되면, 자본논리에 지배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생존을 위해 국가통제 우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금이 더 큰 문제라는 생각은 왜 못하는지 궁금하다. 어쩌면 시장에서 경쟁해 생존해야한다는 두려움 때문에 반대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72


조회 66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북한의 선군정치와 대한민국의 軍연금개혁


국가는 누군가의 희생 속에 평화를 유지한다
굳건한 국방 없이는 안전한 경제 활동도 불가능
군 연금제도 칼질 아닌 행정직 공무원 감축부터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2548 

조회 94

[권호천의 ICT 인사이트] 챗GPT가 적용된 군과 무기체계의 변화


결론적으로 챗GPT는 속도, 효율성 및 통신 측면에서 군 조직 및 무기체계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은 확실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중요한 의사결정 목적으로 사용할 때 훈련 데이터 의존성과 편향 가능성 같은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군 조직과 무기체계에서 챗GPT 특정 사용 사례와 적용은 각 조직 또는 시스템의 요구 사항과 목표는 물론 관련 데이터 및 리소스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활용 범위를 설정해 순차 적용이 필요하다.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14/2023021401095.html

조회 208

[시론] '무임승차 연령 상향' 고려할 네 가지


저소득 고령자에게는 생존문제
의료비 절감 등 사회전체는 이득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3021971621

조회 129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빅데이터응용학과교수 "챗 GPT로 세상에 없는 산업 나온다...'넥스트 구글' 노려라"


"사람처럼 대화하는 챗 GPT, 검색엔진 등장 같은 혁신"
"새로운 산업·서비스 나올 것...적극성 갖고 경쟁해야"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21006473193962

조회 72

[박진기의 한반도 테라포밍] 집단 아사에 내몰린 북한, 정권 붕괴의 서막


북한 공산당은 주민을 대규모 아사로 모는 최악의 집단
북한의 내부 붕괴 유도를 위한 치밀한 전략이 필요한 시기
북한지역 접수 주체는 대한민국 정부임을 공고히 해야 

https://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81828 

조회 88

[아침을 열며] 경쟁과 혁신, 그리고…


물론 경쟁과 혁신만으로 세상이 돌아갈 수는 없다. 인류 역사 내내 그래왔듯이 새로운 무언가 만들어질 때는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그럴 것이며, 피해 보는 사람들이 변화에 저항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혁신에 따르는 피해자들과 그들의 저항이 있으리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혁신과 경쟁을 주장하는 만큼이나 경쟁의 패자와 혁신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재기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재기를 위한 사회 시스템의 구축도 경쟁과 혁신을 강조하는 만큼이나 우리 경제의 노인병을 치유하기 위해 강조해야 할 우리의 과제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20109470005129 

조회 135

[매경이코노미스트] 저출산 문제, 더 진지해지자


7년 동안 출산율 36% 하락
전쟁 빼고 이런 전례가 없어
5년 만의 국민연금 재정추계
2050년 출산율 1.21명 잡아
그 낙관적 예상 근거는 뭔가 

https://www.mk.co.kr/news/contributors/10636389

조회 64

강성진 한국국제경제학회장 “지금은 저강도 스태그플레이션 상황…물가부터 잡아야”


[학회장에게 듣다]④
“하반기, 상반기보다 나을 뿐 경기 어려움은 이어질 것”
“반드시 물가부터 잡아야…공공요금 인상 시점 아쉬워”
“한국은행, 핵심이면서 드러나지 않는 블랙박스 같아야”
“중간재 내재화 노력 중인 中…대중 의존도 낮출 수밖에”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3/02/12/O5L3OR32ZBBTDLE3J3BWWFDPJE/

조회 72

중국 경제, 정점 찍고 하강…‘리오프닝’이 한국에 미칠 긍정효과 제한적[Deep Read]


단기적으론 한국경제에 호재이지만 ‘피크 차이나’ 돌입으로 효과 지속성에는 의문
한국‘반도체 한파’ 이겨내려면 구조조정 시급… 혁신성장 전략으로 對中 의존성 줄여야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20901030630000001